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2

[점심] 이춘복참치 종로YMCA점에서

둘째날은 사람들이 우르르 가길래 따라가 봤더니.. 회사는 분명히 2호선에 있는데 1호선 종각역에 있는 종로타워가 보이더니 그 사람들이 간 곳은 종각역 ‘젊음의 거리’였음 그 앞의 학원을 실업자 국비교육을 받으러 다닐때 직장인인듯한 사람들이 여기서 밥을 먹는가 했더니 을지로에서 넘어온 직장인들 이었나 봄 2호선, 1호선을 넘나드는데 지방사람으로서 서울지리가 참 신기한 것 같음 근데 젊음의 거리 라멘집, 우육면집에 다들 줄이 너무 길어서 ㅠㅠ 줄서면서까지 점심을 먹고 싶진 않음 ㅠㅠ 익숙한 이춘복참치에서 둘째날 점심 먹음 춘복 아저씨가 냉동 아닌 참치를 많이 주심(항상) 을지로보다 여기가 쪼금 더 저렴하긴 하다, 아직은 ㅠㅠ 내일은 우육면 먹으러~갈까 생각중.. ** 참고로 이춘복 참치 원래 있던 지점은 없..

[스프링의 정석 : 남궁성과 끝까지 간다]

스프링의 정석 : 남궁성과 끝까지 간다 | 패스트캠퍼스 국비지원 조기 마감 신화, 베스트셀러 'JAVA의 정석'의 저자 남궁성의 Spring 강의입니다! 오픈톡방과 카페에서 평생 AS를 제공하며 완강과 취업까지 도와드립니다. 지금 할인가로 확인하세요! fastcampus.co.kr ‘자바의 어머니’, ‘자바계의 시조새’, ‘자바계의 살아있는 화석’이신 자바의 정석 저자분께서 이번에 스프링 강의를 출시하심 ** 스프링 책은 동영상을 찍는 것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려서 차후에 나온다고 함 (쓰고 있다고~) ** 안 팔리는 c언어의 정석 말고 스프링 책을 진작에 냈어야 했다고 통탄해 하심-얼마나 안 팔리셨길래…;;;;;;(궁금;;) (c언어의 정석을 쓰기 위해 기계어부터 시작해 4년 동안 공부하고 준비하셨다고..

개발자 취업 준비 [#2 코테, 포트폴리오]

코테 얘기를 하도 많이 들어서.. 10년도 더 전에 c언어로 코테보고 떨어져서 자신감을 잃었었음😂 (지금이라면 그렇게 실망을 안 하고 그냥 덤덤하게 화낼 것 같음, 그냥 뻔뻔하게 살면서 밥상 엎고;;) 코로나가 터진 이후 웹개발로 방향을 바꾸는데 또 코테를 봐야할꺼라 생각해서 심각해져서 살짝 공부를 할랑 말랑 했는데… 시중에 나온 코테문제들은 너무 어렵긴 함, 실무에서 별로 안 쓰는데… 방송을 다시 듣다 보니 스프링의 정석 강의가 너무 밀려 있는 게 생각났다

shp2pgsql로 PostgreSQL에 대량의 shp 파일 import 하기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로드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흔히 다루는 공간데이터를 담은 SHP파일 뿐 아니라 일반적인 데이터를 로드하는 방법은 공간 데이터와 다르지 않습니다. 데이터를 로드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몇가지 무료 오픈 소스 도구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를 로드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QGIS와 같은 데스크탑 GUI 응용 프로그램이 있고 두 번째는 Command Line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더 많은 유연성을 원한다면 2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게시글에서는 여러 개의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로드하기 위하여 Command Line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

DB/PostgreSQL 2021.05.05

[오라클]공간 데이터 관리를 위한 Oracle Spatial 수동설치 방법

Oracle Spatial은 공간 데이터를 DBMS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능이다. 여기서 말하는 공간 데이터는 흔히 GIS(지리정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지구상의 지형지물의 지리적 위치와 특성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보통 파일로서는 SHP타입의 파일의 경우 지리정보를 담고 있는 대표적인 파일이다. 이러한 정보를 DBMS에 저장하고 관리를 한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포털 사이트의 지도검색 서비스, 차량 내비게이션이 위치검색등이 있으며, 현재는 빅데이터의 유행과 더불어 공공기관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여러 통계서비스가 시·군·구 단위의 통계자료를 제공하는 경우 등에 해당한다. 공간 데이터들의 효율적인 저장과 관리를 위해 오라클을 이용해 보도록 하자. 오늘은 오라클에서 공간 데이터(g..

DB/오라클 2021.04.25

5. AWS EC2서버에 putty로 root 계정으로 접속가능하게 설정하기

앞의 포스팅에서 비활성화 되어 있던 root 계정을 활성화 했습니다.하지만 아직까진 putty로 접속할 때는 ec2-user로 접속 후 다시 루트 계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utty로 root 계정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해당 방법은 putty로 접속 할 때 인증을 ppk키 대신 root 계정과 비밀번호로 대신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 /etc/ssh/sshd_config 편집루트 계정으로 접속합니다. [ec2-user@ip-172-31-37-81 ~]$ su - # 루트 계정으로 전환합니다. ssh 서비스의 설정파일을 편집합니다 [root@ip-172-31-37-81 ~]# vi /etc/ssh/sshd_config sshd_config 파일에서 줄번호와 함께 ..

4. AWS EC2 서버의 root 사용자 활성화 하기

리눅스나 유닉스의 경우 보안때문에 기본적으로 root 사용자는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향후 프로그램 설치와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root 사용자로 접속해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root 사용자를 활성화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ec2-user로 접속합니다. $ sudo passwd root $ (설정하고자 하는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 8자 미만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보안을 위해 8자 이상의 비밀번호를 입력해 달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무시하고 진행해도 되지만 보안 강화를 위해서라면 처음부터 8자 이상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를 한번 더 입력해 주세요)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