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5

[오라클]공간 데이터 관리를 위한 Oracle Spatial 수동설치 방법

Oracle Spatial은 공간 데이터를 DBMS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능이다. 여기서 말하는 공간 데이터는 흔히 GIS(지리정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지구상의 지형지물의 지리적 위치와 특성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보통 파일로서는 SHP타입의 파일의 경우 지리정보를 담고 있는 대표적인 파일이다. 이러한 정보를 DBMS에 저장하고 관리를 한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포털 사이트의 지도검색 서비스, 차량 내비게이션이 위치검색등이 있으며, 현재는 빅데이터의 유행과 더불어 공공기관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여러 통계서비스가 시·군·구 단위의 통계자료를 제공하는 경우 등에 해당한다. 공간 데이터들의 효율적인 저장과 관리를 위해 오라클을 이용해 보도록 하자. 오늘은 오라클에서 공간 데이터(g..

DB/오라클 2021.04.25

5. AWS EC2서버에 putty로 root 계정으로 접속가능하게 설정하기

앞의 포스팅에서 비활성화 되어 있던 root 계정을 활성화 했습니다.하지만 아직까진 putty로 접속할 때는 ec2-user로 접속 후 다시 루트 계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utty로 root 계정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해당 방법은 putty로 접속 할 때 인증을 ppk키 대신 root 계정과 비밀번호로 대신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 /etc/ssh/sshd_config 편집루트 계정으로 접속합니다. [ec2-user@ip-172-31-37-81 ~]$ su - # 루트 계정으로 전환합니다. ssh 서비스의 설정파일을 편집합니다 [root@ip-172-31-37-81 ~]# vi /etc/ssh/sshd_config sshd_config 파일에서 줄번호와 함께 ..

4. AWS EC2 서버의 root 사용자 활성화 하기

리눅스나 유닉스의 경우 보안때문에 기본적으로 root 사용자는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향후 프로그램 설치와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root 사용자로 접속해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root 사용자를 활성화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ec2-user로 접속합니다. $ sudo passwd root $ (설정하고자 하는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 8자 미만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보안을 위해 8자 이상의 비밀번호를 입력해 달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무시하고 진행해도 되지만 보안 강화를 위해서라면 처음부터 8자 이상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를 한번 더 입력해 주세요)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

3. AWS EC2서버에 putty로 접속하기

AWS EC2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3가지로 독립 실행형 SSH 클라이언트, Session Manager, EC2 인스턴스 연결(브라우저 기반 SSH 연결) 이 있습니다. 3가지 방법 모두 추가 설치및 설정이 필요합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원격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putty를 이용한 방법(아래 그림에서는 '독립 실행형 SSH 클라이언트')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서버 접속인증을 위한 ppk 키 파일 생성하기 1. PuTTYgen 을 실행합니다. PuTTY 설치 과정 포스팅을 그대로 따라했다면 해당 프로그램도 설치가 되었을 겁니다. PuTTYgen을 클릭해 실행해 주세요. [PuTTY 설치과정 참조] 2020/07/03 - [IDE TOOL 설정] - PuTTY..

[파이썬] 파이썬(Ver 3.7) 설치하는 방법

# 파이썬 버전 2와 3 선택하기파이썬 버전 2와 3 사이에는 꽤나 많은 문법적인 차이가 존재합니다.파이썬의 경우 파이썬 3이 발표된 해는 2008년 입니다. 즉 3버전이라고 해서 아주 최신의 것이라 아직 안정화가 되지 않아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상황이 아니란 얘기입니다. 게다가 파이썬 2을 지원하지 않는 라이브러리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파이썬 3버전을 선택하여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 아나콘다란 무엇인가?파이썬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그 중 파이썬만을 단독으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파이썬 자체에는 pip라는 패키지를 관리하는 모듈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파이썬만을 설치하면 특정 패키지의 함수를 사용할 경우 그 함수가 속한 패키지를 일일이 다운로드 받..

파이썬 2020.07.07

PuTTY(SSH 접속 프로그램) 다운로드와 설치 방법

# Putty 란 무엇인가? Putty는 SSH 프로토콜을 이용해 리눅스나 유닉스 계열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무료이며 사용이 간단해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 # 다운로드 페이지 다운로드 링크 :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Download PuTTY: latest release (0.74) This page contains download links for the latest released version of PuTTY. Currently this is 0.74, released on 2020-06-27. When new releases come out, thi..

IDE TOOL 설정 2020.07.03

2. AWS EC2(Amazon Elastic Compute Cloud) 서버 설정하기

# Amazon EC2이란? 아마존, 즉 AWS의 EC2 서비스란 Amazon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로서 간단히 줄여서 Amazon EC2라고 부릅니다. Amazon Web Services(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확장식 컴퓨팅 서비스를 말합니다. Amazon Web Services(AWS)에서는 컴퓨팅 파워, 스포리지, 데이터베이스 등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EC2 서비스는 가상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킹과 같은 여러 가지 구성을 제공합니다. 더 쉽게 이야기 하자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가상의 컴퓨터 한대를 무료로(첫 1년동안 무료) 제공 받는 것을 말합니다. 이 가상 컴퓨팅 환경을 여러분이 시작하려고 하는 온라인 서..

1. AWS 계정 만들기

# 웹구축을 위한 무료 서버 AWS AWS 사이트(https://aws.amazon.com/ko)에 접속합니다. 우측 상단의 [내 계정]을 클릭하여 [계정 설정] 메뉴로 들어갑니다. '루트 사용자'가 기본으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그대로 두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AWS에서 ID로 사용할 '이메일 주소'와 '암호'를 입력하고, AWS 계정 이름엔 해당 서버를 부를 명칭을 넣어 줍니다. 하단을 보시면 [(필수) 동의하고 계정 만들기] 버튼이 있습니다. 클릭합니다. 계정 유형 : 개인, 이름 : 해당 웹서버를 지칭하는 명칭, 전화번호 : 핸드폰 번호, 국가/리전 : 대한민국, 주소 : 아파트&빌라 이름>>>층&호수>>>구/군/시 >>>시/도 또는 리전 순서로 적으시면 됩니다. (다만 영어로 적으셔야 합..

shp2pgsql로 PostgreSQL에 shp 파일 import 하기

# shp2pgsql 을 사용하여 PostgreSQL에 shp 파일을 import 하는 방법PostGIS 2.0 Shapefile and DBF Loader Exporter 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GUI 툴을 이용하는 방법이다.)shp2pgsql 은 스크립트 명령어를 이용하여 shp 파일을 import 하는 방법이다. (다수의 shp 파일을 import 할때는 이 방법이 더 간단할 수 있다.)PostGIS 라는 확장 프로그램이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로 PostGIS 불러오기 PostGIS는 PostgreSQL의 확장프로그램으로, 데이터베이스에 GIS(지리정보 시스템) 객체를 저장할 수 있게 해줍니다. PostGIS는 GiST 기반 R-Tree 공간 인덱스를 ..

DB/PostgreSQL 2020.06.16

윈도우서버에서 PostgreSQL 외부접속 가능하게 설정하는 방법

# 윈도우서버에서 PostgreSQL 외부접속 허용하기 사실 실무에서 대부분 DB서버와 웹서버를 물리적으로 같은 서버에 두진 않을 것이다. 그래서 이번엔 SET ROLE 사용법과 DATABASE, TABLE 만들기에 앞서 PostgreSQL 외부접속을 허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한다. 나의 경우는 실시간 서비스를 목적으로 PostgreSQL을 사용한 건 아니라 이 과정이 필요하진 않았지만, 서버용PC에 PostgreSQL을 설치한 후 원격으로 접속하였을 때 서버용PC가 성능이 조금 더 좋은 것이었기 때문에 약간의 속도향상의 이점이 있었었다. (하지만 원격 접속이라 직접 서버용PC에서 작업할 때보단 체감속도가 좀 떨어지는 느낌은 있다.) 이 포스팅은 윈도우서버에 설치된 PostgreSQL을 대상으..

DB/PostgreSQL 2020.06.14
반응형